문제 번호 1884. -- [데이터구조 2025년 1학기 중간고사] 문제 1

1884: [데이터구조 2025년 1학기 중간고사] 문제 1

시간 제한: 1 Sec  메모리 제한: 128 MB
제출: 61  해결 문제 수: 8
[제출][채점 상황 열람][게시판]

문제 설명

괄호문자, ( ), { }, [ ] 들이 다양한 순서로 입력된다.
당신이 할 일은 입력된 괄호들의 짝이 맞는지를 확인하는 것이다. 예를 들어, (()) 이 입력된다면, 여는 괄호와 닫는 괄호의 순서가 잘 맞는 것이다. ({[]})의 경우도 짝이 잘 맞는 괄호이다.
(){}[]도 짝이 잘 맞는 괄호이다.

그러나 ((), ({[}]) 같은 경우는 순서가 맞지 않는다. 순서가 잘 맞는 경우, 괄호 종류별로 몇개의 쌍이 있는지 (), {}, [] 순서대로 (나타나는 순서가 아니라, 항상 고정된 순서), 그 숫자를 출력한다. 예를 들어, 입력 ({[]})의 경우, 1 1 1을 출력하면 되고, {[]}의 경우 0 1 1을 출력하면 된다. 순서가 맞지 않는 경우에는 PROBLEM (알파벳 대문자)이라고 출력한다.

입력되는 괄호문자들 간에는 공백이 없으며, 끝은 $로 표시된다. 즉, ({})$과 같이, $를 이용하여 입력이 끝났음을 알린다. 그리고, 출력 행의 끝에는 줄바꿈 문자가 없어야 한다.

입력

({[]})$

출력

1 1 1

입력 예시

({[]})$

출력 예시

1 1 1

도움말

스택을 이용해서 해결하면 된다. 

출처

[제출][채점 상황 열람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