정수 두 개(a, b) 를 입력받아 a를 b로 나눈 몫을 출력해보자.
(단, -2147483648 <= a <= b 2147483647, b는 0이 아니다.)
정수 두 개(a, b) 를 입력받아 a를 b로 나눈 몫을 출력해보자.
(단, -2147483648 <= a <= b 2147483647, b는 0이 아니다.)
정수 두 개(a, b)가 공백을 두고 입력된다.
(단, -2147483648 <= a <= b 2147483647)
a를 b로 나누었을 때의 몫 만 출력한다.
1 3
C언어에서 정수/정수 연산의 결과는 몫이 계산된다.
실수/정수,
정수/실수,
(float)정수/정수,
정수/(float)정수
의 연산은 나눈 결과가 실수로 계산된다.
(float)(정수/정수)는 정수/정수의 결과인 정수를 실수형(float)로 바꾸는 것으로 정수가 실수형태로 변환되는 것이니 주의한다.
정수/실수... 에서 계산 결과가 실수형으로 바뀌는 것과 같이 계산 결과의 데이터형이 자동으로 바뀌는 것을 묵시적 (데이터)형 변환이라고 하고,
"(데이터형)변수또는값" 과 같이 어떤 값이나 결과의 데이터형을 바꾸어주는 것을 명시적 (데이터)형 변환이라고 한다.
int a;
scanf("%d", &a);
printf("%f", (float)a);
와 같이 실행하면 정수로 저장되어있는 값을 실수형(float)으로 변환해 출력한다.